中 상무부 "미국, 반도체 시장서 불공정 보조금 지급·덤핑 의혹받아"
美, 수년 전부터 중국 대상으로 유사 제재 지속
급성장하는 中 성숙 공정 반도체 시장, 이번 조사도 '지원사격'?
중국 정부가 미국산 성숙 공정 반도체(범용 레거시 반도체) 제품에 대한 반덤핑·반보조금 조사에 나선다. 미국이 중국 현지에서 성숙 공정 반도체 제품을 저가로 판매하고, 자국 반도체 제조 업체에 불공정 보조금을 지급했다는 이유에서다.
中, 2035년까지 핵탄두 1,500기까지 늘려
10년 후 핵무기 보유량 미·러 넘어설 수도
美 주도하는 '핵 통제 체제'에 한계 드러나
중국이 핵탄두 보유량을 급속도로 늘리며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미 국방부는 중국의 핵탄두가 오는 2035년까지 현재의 3배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미국과의 핵전략 격차를 줄이려는 중국의 행보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공화당 주도로 통과, 찬성 218표·반대 206표
트랜스젠더 선수 활약 사례 잇따르며 논란
185㎝ 수영선수 대학대회 우승 대표 사례
마이크 존슨 미국 하원의장이 14일(현지시간) 국회의사당에서 ‘스포츠 여성과 소녀 보호법’에 대한 하원 표결 후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사진=게티이미지
US스틸 인수 놓고 美·日 철강사 신경전
US스틸에 인수 퇴짜 맞았던 클리프스
주당 30달러대 인수 의사 다시 밝혀
US스틸, 기존 일본제철과의 합병안 전념 입장
로렌코 곤칼베스 클리블랜드-클리프스 CEO/사진=클리블랜드-클리프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일본제철의 US스틸 매수안을 불허한 가운데,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철강
WTI 78.82달러, 브렌트 81.01달러
美 대러시아 신규 제재 여파에 급등
중국·인도 대체 수입처 찾아야
국제유가가 5개월 만에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러시아 석유회사는 물론, 러시아산(産) 석유를 몰래 수송해 오던 유조선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제재 여파가 식지 않고 있어서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中 사이버 공격 위험성 경고
中, 최근 미국·일본·대만 등에 대규모 사이버 공격 실시
"해킹 공격 행위 반대해 왔다" 中은 공격 사실 부인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중국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향후 중국이 미국에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면 미국은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며, 이를 억제하는 것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우선순위가 돼야 한다는 시각이다.
병든 아르헨티나 경제 '대수술'
인플레 주범 정부 지출 '싹둑'
적자였던 무역수지, 1년 연속 흑자
‘남미의 병자’로 불리던 아르헨티나가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 대통령 취임 1년 만에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 퍼주기 정책으로 고질적인 채무에 시달리던 아르헨티나가 포퓰리즘 척결을 내세운 밀레이 대통령 집권 이후 빠른 속도로 재정 건전성을 회복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령화와 치매가 가져온 日 금융권의 변화
60세 이상 노인, 가계 현금·예금 60% 보유
집에 묻어 둔 장롱예금 등 '치매머니' 급증
일본의 가계 금융자산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상당수 자금이 현금과 예금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 속 고령화로 인해 금융자산이 노인들 사이에서만 순환하는 '노노(老老)상속'과 치매 노인의 자산 관리 문제가 심화하면서 일본 경제의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
CEA 위원장 내정자, 동맹국 대상 관세 강화 필요성 주장
전문가 "글로벌 시장 질서, 보호무역주의로 회귀할 것"
美 내부에서는 제2의 '플라자 합의' 등장 전망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지명된 스티븐 미런 전 재무부 경제정책고문/사진=맨해튼 연구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 고문으로 활동할 스티븐
파나마 운하·그린란드 등 겨냥해 연일 도발적 발언
경제적 압박에 군사력 동원까지 강경한 입장 밝혀
러시아·중국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판단
그린란드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사진=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X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앙아메리카 파나마 운하와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의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력 사용을
러·우크라 가스관 중단에 한파가 새로운 위기로
유럽 가스 비축량은 3개월 새 24%포인트 감소
노르웨이 LNG 설비까지 멈춰 가스 가격 오름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된 공급망 교란에 역대급 한파가 맞물리면서 유럽의 가스 비축량이 급감하고 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한 상황에서 가스 재고가 줄어들자 가스 가격도 폭등했다.
MTA, 뉴욕시 맨해튼 진입 차량에 혼잡통행료 부과
英 런던 성공 전례가 제도 도입에 영향 미쳤나
뉴욕서 제도 안착 시 벤치마킹 사례 증가 예상
미국이 뉴욕시 맨해튼 도심부로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혼잡통행료 부과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혼잡통행료 징수를 통해 자동차 통행량을 줄이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 교통 체증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브라질, BYD 임시 취업비자 발급 중단
BYD 측 "문화적 차이·번역 오류" 주장
현지 노동계 일자리 축소 및 착취 민감 반응
브라질 정부가 자국에 공장을 건설 중인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강제 노동을 문제 삼고 나섰다. BYD에 대한 임시 취업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추가 조사에 돌입한 것이다. 중화권에서는 이번 사태가 문화 차이로 발생한 일이라는 BYD 측의 해명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캐나다의 오바마’로 불리며 44세 집권
난민 수용 문제로 지지율 크게 떨어져
“51번째 주지사” 트럼프 조롱 직격타
6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타와에서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기자회견을 열고 자유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사진=쥐스탱 트뤼도 총리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