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IP정책
  • 尹, 넷플릭스 등 해외 기업 투자 유치 위해 '규제 해소'
尹, 넷플릭스 등 해외 기업 투자 유치 위해 '규제 해소'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Real name
Eunhae Seo
Bio
OTT의 바다를 항해합니다.

수정

사진=대통령실

지난 24일부터 일주일간 미국을 국빈 방문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외교 키워드는 바로 'K-콘텐츠'다.

윤 대통령은 2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자유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한미동맹은 양국 문화산업의 시너지를 만들어 내는 문화동맹으로 발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넷플릭스, 디즈니, 워너브라더스, 파라마운트,  유니버설, 소니 픽쳐스와 같은 글로벌 영상 콘텐츠 분야의 리더들을 만나 양국 문화 협력을 논의했다고 밝히며 "이들 글로벌 기업은 한국 투자에 큰 관심과 의욕을 보였다. 이들에게 한국의 시장은 전 세계 시장과 단일 시장화하겠다, 얼마든지 투자해 달라고 얘기했다. 그리고 한국 사업에 장애가 되는 규제를 전부 해소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는 4년 동안 K-콘텐츠에 25억 달러(한화 약 3조 3,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오징어 게임>과 같은 세계적 메가 히트작에서 보듯이, 한국 콘텐츠와 미국 플랫폼이 만나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기업의 한국 투자 확대를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사진=대통령실

이번 윤 대통령의 방미 정상외교에서는 한국 문화와 콘텐츠가 부각됐다. 27일(현지시간) 의회 연설에서 윤 대통령은 “문화콘텐츠는 양국 국민이 국적과 언어의 차이를 넘어 더욱 깊은 이해와 우정을 쌓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면서 "나는 몰라도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BLACKPINK)는 알 것"이라며 K팝 글로벌 인기를 이끼는 두 그룹을 언급했다.

같은 날 오후(현지시각) ‘글로벌 영상콘텐츠 리더십 포럼’에는 세계 영화 및 비디오 시장의 77%,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시장의 45%를 차지하는 미국영화협회(MPA) 소속 대표들이 총출동해 K-콘텐츠의 높아진 글로벌 위상과 영향력을 증명했다.

미국의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한국기업이 킬러콘텐츠를 제작·공급하는 양상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가운데, 파라마운트·워너브라더스디스커버리·NBC유니버설·소니픽쳐스·월트디즈니·넷플릭스가 참석해 한국기업과 콘텐츠 협력을 논의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영화진흥위원회는 넷플릭스와 청년인재 육성과 K-컬처 확산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5년간 2,000명의 청년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글로벌 기업은 한국 문화 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문화와 소프트파워 부흥을 위해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콘텐츠, 문화의 세계 단일시장 편입을 위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 불필요한 규제가 있다면 해체하겠다. 전 세계 마켓을 단일시장으로 만들 수 있게 개별 국가에서 규제를 먼저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을 수행했던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양국 정상외교의 또 다른 키워드로 ‘K-컬처, K-콘텐츠’가 조명된 것은 획기적인 의미가 있다"면서 "한국 영화·문화의 세계 단일시장 편입을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규제의 혁파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Real name
Eunhae Seo
Bio
OTT의 바다를 항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