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PF 리스크에 허덕이는 롯데건설, 조합에 준공 연기·선분양 등 요구조합 측 "약정금 연대보증 연장해 달라" 요청했지만 거절


47년 만에 파업 돌입한 ILA, 3일 만에 파업 종결美 정부 압박 짓눌린 USMX, 62% 파격 임금 인상안 제시지난해 마무리된 서부 항만 갈등, ILA 파업에 영향 미쳤나
ila_strike_20241004
글로벌 공급망 혼란의 뇌관으로 떠올랐던 미국 동부 항만 노조 파업이 일단락됐다. 파업이 불러올 경제적 파장을 우려한 미국 정부가 노조 측을 지지하며 사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사측인 미국해양협회(USMX)가 파격적인 임금 인상안을 제시하며 갈등이 봉합된 것이다.
보험연구원, 보험업계의 정신건강 '보장 공백' 조명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신건강 보험 발전한 美, 참고 사례 될까 "미국 따라가려면 멀었다" 정신질환자 가입 차별 등 고질적 문제 여전
insurance_20241003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보험사가 적극적으로 관련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신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민영보험 분야의 정신질환 보장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규제당국, 자국 기업에 '중국산 AI 칩' 구매 권고해AI 칩 기술력 끌어올린 화웨이, 엔비디아 빈자리 채울까자체 HBM 개발에도 속도 내는 中, 목표는 HBM2
china_nvidia_20241003
중국이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 반도체 대신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을 구매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 대한 자국 시장의 의존도를 낮추고,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인공지능(AI) 칩 제조 업체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화오션, 호주 조선·방산업체 오스탈에 인수 협의 중단 통지韓 오커스 협력 가능성에 물살 탔던 논의, 오스탈의 무리한 요구로 '무산'


"다른 나라 공장·일자리 빼앗겠다" 트럼프 강경 발언트럼프가 지목한 한국·독일, 이미 美 투자 규모 막대해 정부 지원금 앞세워 해외 투자 흡수하는 美, EU 등은 '궁지'
Donald-Trump_PE_20240925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사진=도널드 트럼프 인스타그램
미국 대선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요국의 제조업 일자리를 미국으로 가져오겠다는 야망을 드러냈다. 법인세 인하, ‘특별 구역(special zone)’ 지정 등을 통해 자국 제조업 패권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야당·일부 언론, 체코 원전 수주 수익성 관련 의문 제기반박 나선 대통령실 "현지화율·웨스팅하우스 참여율 등 미정"원전 건설 수익성·경제적 파급 효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Dukovany_20240924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사진=한국수력원자력
대통령실이 체코 두코바니 원전 '덤핑 수주' 논란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체코 원전 사업을 통해 한국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6조원대에 그친다는 일부 야권과 언론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한 것이다.
상반기 금융민원 5만6,275건, 펀드·신탁·손해보험 위주로 증가 평균 민원 처리 기간은 13.6일 감소, 업무 효율화 노력 통했나


정부, 그린벨트 해제 통한 주택 공급 대책 제시"장기적이고 일시적인 대책" 실효성 논란 이어져야당도 비판 목소리 합세, 입법 후속 조치 암초 부딪힐까
greenbelt_20240912
정부가 '8·8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경기 지역 그린벨트 해제 방안을 발표한 이후 1개월이 지났지만, 정책을 둘러싼 비판적 여론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시장 곳곳에서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이달 중으로 후속 입법 조치를 단행하며 대책 추진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모든 국경으로 임시 국경 통제 확대" 독일의 초강수안보 위협·극우 정당 세력 확대 등이 영향 미쳐몰려드는 난민에 난색 표하는 EU, 신 이민·난민 협정 최종 승인
germany_20240910
독일이 모든 국경에서 입국자를 검문하기로 했다. 난민 흉악 범죄, 이슬람 국가(IS)의 테러 위협 등으로 국가 안보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솅겐 조약(유럽 지역 29개 국가들이 여행과 통행의 편의를 위해 체결한 협약) 가입국 다수의 국경에 경찰을 배치하며 본격적으로 통제를 강화하는 양상이다.
"규제 쏟아졌는데" 5일 만에 1조3,000억원 불어난 가계대출주담대 수요 흡수한 신용대출, 금융당국 추가 규제 검토제2금융권, 금리 인하·대출 제한으로 풍선 효과 선제 대응
loan_pe_20240909
국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이달 들어 5일 만에 1조3,000억원 가까이 확대됐다. 연이어 쏟아져 나온 정부의 규제와 은행권의 자체적인 대출 제한 조치에도 불구, 신규 대출 수요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양상이다. 특히 시중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의 반동으로 신용대출 잔액이 급증하는 등 풍선 효과까지 나타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성환 금통위원 "주택 가격 문제 심각" 경각심 표출한국은행, '부동산 과열' 근거로 7·8월 기준금리 동결


전기차 충전소, 배상책임보험 의무 가입 대상 아니야전기차發 대형 화재 사고에 고조되는 불안감, 국회 제도 개선 착수보험업계, 대물배상 한도 확대·특약 운영 등으로 제도 공백 보전
liability insurance_PE_20240904
전기차 충전 시설의 배상책임보험 가입 의무화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발(發)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다. 국회 역시 이 같은 여론을 인지, 관련 개정안을 다수 발의하며 제도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페르트 피알라 체코 총리 "신뢰할 수 있는 한국 공급 업체와 협상 중"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관련해 이의 제기 이어가는 美 웨스팅포인트잡음 속 韓에 특사 파견하는 체코 정부, 최종 계약 원활할까
Dukovany_20240902
체코 두코바니 원전 전경/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체코 정부가 신규 원전 건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강한 신뢰를 드러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 등 수주전에서 패배한 업체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음에도 불구, 한수원 및 한국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유지하는 양상이다.
가공식품·외식 가격 줄줄이 인상, 물가 부담 가중6월 상승세 꺾인 생산자물가지수, 농수산물 중심으로 반등정부, 추석 성수품 위주로 물가 안정 정책 펼친다
fruit_inflation_20240829
식품·외식업계 물가가 매섭게 치솟고 있다. 농수산물을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재차 뛰어오른 가운데, 기업들이 줄줄이 가공식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며 소비자 부담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정부는 코앞까지 다가온 추석 대목을 대비해 최근 민생 안정 대책을 발표, 주요 품목 공급 확대·할인 지원을 예고하고 나섰다.
미국 연방정부 당국, 현대차 HMGMA 환경 재평가 동의HMGMA 수자원 예상 수요량 미공개한 조지아주, 시장 뭇매


중국發 덤핑 피해 시달린 캐나다 철강업계, 대책 마련 촉구캐나다 정부도 중국 '물량 밀어내기' 견제, 전기차 등 관세 인상 검토"제철 사업 영위 불가능" 철강 덤핑에 가라앉는 중남미 시장
canada steel 20240809
캐나다의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들이 정부에 대(對)중국 관세 부과를 주장하고 나섰다. 중국의 철강 덤핑(Dumping, 상품을 일반적인 가격보다 저렴하게 대량으로 판매하는 행위)으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는 가운데,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서라도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소비자 지갑 열어라" 저가 마케팅 펼치는 美 외식업계가파르게 치솟는 체감 인플레이션, 소비자 고통 가중


지자체, 미정산 피해 업체에 6,000억원 규모 추가 저리 대출 지원대규모유통업법 개정·판매대금 별도관리 의무화 등 제도 개선 예정대출 중심 지원책에 뿔난 피해 업체들, 근본적 해결책 촉구
wemakeprice tmon 20240807
큐텐(Qoo10) 그룹 계열사 티몬·위메프의 셀러 미정산·소비자 미환불 사태로 인한 혼란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정부가 제시한 피해 업체 지원안이 '핵심'을 놓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대출 중심의 지원책은 당장의 기업 파산을 막는 임시 조치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中, 상반기에만 철강 5,300만 톤 쏟아냈다관세 장벽 강화하며 '반덤핑' 움직임 보이는 美2010년대 초 중국發 덤핑 사태 재현 우려
chinese steel 20240806
저가 중국산 철강재가 글로벌 철강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중국 건설 시장의 부진으로 인해 소화되지 못한 철강 물량이 수출 시장으로 밀려나며 혼란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10여 년 전 벌어졌던 중국발(發) 철강 덤핑(Dumping, 상품을 일반적인 가격보다 저렴하게 대량으로 판매하는 행위) 대란이 다시금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