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민주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공정위 'DGT모빌리티'에 제재 의견 심사보고서 발송과도한 수수료 징수 의혹, 사건 심의 후 제재 수위 결정콜 차단, 배차알고리즘 조작 등 잡음 끊이지 않는 카모
kakaoT PE 001 20240716
사진=카카오모빌리티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구시 자체 택시호출앱을 통해 올린 자사 가맹택시의 매출에도 수수료를 부과하는 본부의 정책을 위법 행위로 판단하고 제재 절차에 들어갔다. 이에 일각에선 카카오 가맹택시 수수료 제재가 전국적인 이슈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대구 지역 외 소속 가맹택시에도 동일한 수수료 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이다.
尹 "세계 최고 기술력 韓 원전" 피력'30조원' 체코 우선협상 선정 설득도


쉬인, 'MZ 패션성지' 성수동서 국내시장 공략앱 설치 유도하며 마케팅 벌였지만 가품 전시로 도마


미국 6월 비농업 일자리, 전월비 둔화실업률도 4.1%로 지속 상승 추세노동시장 둔화에 9월 금리인하 기대 고조
Trading Economics PE 001 20240708
미국 월별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동향/출처=트레이딩이코노믹스
미국 고용시장 일자리 수 증가가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서울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경쟁입찰, 3건 불과민간 정비사업도 '찬밥', 낮은 수익에 몸사리는 건설사원가 상승에 건설사와 자재업계 가격 놓고 신경전도
construction PK 20240704 001 img
올해 상반기 서울지역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입찰 20여 건 중 경쟁입찰은 3건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의계약으로만 진행되거나, 선별수주 기조에 따라 응찰하지 않는 모습도 포착됐다. 건설사들이 매몰 비용을 줄이기 위해 경쟁을 피하면서 나타난 현상들이다.
공정위, 알리 코리아 ‘실제 운영사 아니다’ 판단테무의 개인정보 국외유출·불공정약관도 조사 중


사우디 정부 "네옴시티 재검토, 일부 연기 및 축소"국제 유가 정체로 사우디 재정적자 문제 심각애초에 과장된 계획, 외국 투자자 찾기 어려워
NEOMCITY TheLine PE 001 20240626
네옴(NEOM) 미래 도시 더 라인(The Line)의 조감도/사진=네옴 홈페이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추진하고 있는 ‘네옴(NEOM)시티’ 사업 계획이 축소될 것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사우디의 주 수입원인 국제 유가가 좀처럼 오르지 않아 재정난이 심각한 데 따른 결정으로 풀이된다.
SK그룹, 사업재편 추진 위해 산은에 투자 지원산업은행, 배터리·반도체 관련 지원 본격 논의SK, 중복사업 정리·계열사 합병 등 자구책 마련
SK Jongro 001 PE 20240621
서울 중구 SK 서린사옥/사진=SK그룹
사업 재편을 추진 중인 SK그룹이 산업은행에 투자 자금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의 저금리 대출을 활용해 배터리와 반도체 투자를 이어가고 일부 계열사 통합·매각, 중복 사업 정리 등에 들어가는 자금을 대기 위해서다. SK는 산은의 도움을 받아 ‘선택과 집중’에 나서 그룹 체질을 대대적으로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 노사, 8차 임협 교섭 결렬사측 '기본급 10만1,000원 인상' 등 제시노조 측 거부, "순이익 30% 성과급 달라"
hyundai_union_PE_001_20240614
현대차 노사 올해 임금교섭 상견례 모습/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회사가 제시한 올해 임금협상과 관련,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 준비 수순에 들어간다. 사측이 제안한 올해 임금협상안이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노조 파업이 시작되면 현대차는 6년 만에 파업을 맞게 된다.
권도형, 6조원 벌금 지급에 합의美증권거래위, 법원에 승인 요청애초 책정된 7조원보다는 하향
terra_CEO_001_PE_20240613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사진=테라폼랩스
스테이블코인(실물화폐와 가치가 연동된 코인) 사기로 세계적인 파문을 일으킨 권도형 테라폼랩스 전 대표가 거액의 벌금을 내게 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약 6조원 규모의 환수금 및 벌금 납부에 합의하면서다.
산업부 '고성능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사업' 공고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사업에 관심국내 기업들 해외 생산 비중 높아, 실효성 의문
lgensol_solid-state-battery_001_20240610
LG에너지솔루션 오창공장 직원들이 전고체 배터리를 소개하고 있다/사진=LG에너지솔루션
정부가 올해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한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R&D) 투자를 본격화한다. 가격, 에너지밀도, 안정성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상용화 기술을 확보해 초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노조 파업 임박, 투쟁 규모 따라 반도체 생산 차질 전삼노, "실세 정현호, 불성실 교섭 노동조합 무시"


중국 단체관광객 부재 직격탄'희망퇴직 및 매장축소' 등 검토비용 절감 위해 마케팅 비용도 조정
LOTTE_DUTY_FREE_oo1_20240529
롯데면세점이 운영 중인 김포공항 출국장 내 면세점 DF1구역의 모습/사진=롯데면세점
롯데면세점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한다. 이른바 '싼커'라 불리는 개별 여행객은 늘었지만, 큰 손으로 통하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커'가 돌아오지 않으면서 장기간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 전략을 새로 짜면서 위기를 극복해 나가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유커'에서 '싼커'로 바뀐 중국 관광 형태"명품 대신 알뜰 쇼핑 위해 한국행"


석유화학에 이어 OLED 시장도 중국에 자리 내줬다조선, 철강, 배터리, 태양광 분야도 이미 중국이 잠식미중 간 관세전쟁 본격화, 중간재 수출 위축 우려
china_policy_20240516
중국 기업들이 석유화학을 비롯해 조선, 철강, 배터리, 태양광 분야도 낮은 가격을 앞세워 수요를 쓸어 담고 있다. 최근 국내 디스플레이업계의 ‘최후의 보루’로 꼽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도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주는 등 첨단 업종마저 하나둘 중국에 잡아먹히고 있다.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 트럼프 49%-바이든 43%'사법 리스크', 지지율 영향 미미한 듯


신설 민정수석·법률수석 후보로 거론됐던 이 원장"처리해야 할 현안 산적, 동요하지 말라" 당부


"360일 내 팔아라" 틱톡 강제 매각 법안 미 하원 통과"표현의 자유 짓밟혔다" 틱톡, '강제 매각' 강행 맹비난중국 정부 '왓츠앱·스레드' 삭제 조치 맞불도
tiktok_PE_20240422
미국 하원이 중국 숏폼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틱톡의 미국 사업 강제 매각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기술 분야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6월 말까지 유류세 인하 2개월 추가 연장석유류값 상승의 전체물가 자극 우려한 조치


KDB산업은행, 5,100억원 부실채권 매각 추진 "이달 중 입찰 마감"IBK기업은행도 5.400억원 부실채권 턴다, 회계법인 선정 작업 돌입연이어 부실기업 정리 실패한 산업은행, 구조조정 능력 논란도
KDB_PE_20240409
KDB산업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이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매각에 나선다. 부실채권은 3개월 이상 연체됐거나 원금이 정상적으로 상환되지 않은 대출채권이다. 코로나19 시기 기업에 대한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금융 지원에 앞장섰던 국책은행은 금융지원이 종료된 이후 억눌렸던 기업 부실이 터지자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부실채권 매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