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산단·동해안 수소벨트 띄운 윤 대통령, “경북 첨단제조혁신허브로 탈바꿈할 것”

160X600_GIAI_AIDSNote
원전·수소 중심 첨단제조혁신허브 구상 내놓은 정부, 경북에도 변화의 바람 부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조성 등 계획안 발표
이미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된 경주·울진, 정부 지원으로 계획 현실화 속도 붙을 듯
Yeungnam Yoon 20240621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 천마아트센터에서 열린 스물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에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와 원전, 수소를 중심으로 한 첨단제조혁신허브가 들어선다. 경주에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고, 포항과 울진을 잇는 수소경제 산업벨트도 함께 구축될 예정이다.

윤 대통령 “경북에 신성장 동력 불어넣겠다”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경북 경산 영남대학교에서 ‘동북아 첨단제조혁신 허브 경북’을 주제로 열린 26번째 민생토론회를 주재하고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의 제조 역량과 AI, 첨단·디지털 기술을 연계해 첨단 제조업 강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겠단 취지로, 기존 청강과 섬유 중심의 경북에 신성장 동력을 불어넣어 첨단제조혁신허브로 탈바꿈하겠단 게 골자다.

정부는 우선 SMR 제작 기술을 선제 확보할 수 있도록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3,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차원에서 내년까지 800억원 규모의 원전 산업 성장 펀드도 만든다. 최근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SMR이 포함되기도 했다. 우수한 국내 원전 제작역량이 SMR 분야로 확장되면 글로벌 SMR 시장 선점도 불가능하지 않단 게 윤 대통령의 판단이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는 노형 개발뿐만 아니라 SMR 기자재 제작, 시공 등 파운드리 역량이 글로벌 SMR 시장 패권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7월 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된 구미산단을 반도체 소재부품의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며 1차로 2026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설계 검증을 위한 ‘R&D실증센터’를 만들겠다고도 밝혔다. 또 1,500억원을 투입해 경산에 ‘스타트업 파크’와 포항에 ‘첨단제조 인큐베이팅센터’ 등을 구축하고, 300억원 규모의 지역혁신 벤처펀드를 만들어 자금 조달도 지원한다. 포항과 울진을 잇는 8,000억원 규모의 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조성 사업도 언급됐다. 경북을 스타트업 코리아의 주역으로 키워나가겠단 게 윤 대통령의 최종 목표다.

gyungju SMR 20240621
경북 SMR 국가산업단지 조감도/사진=경상북도

개발 의지 내비친 정부, 본격적인 개발 사업 속도

이번 사업에 포함된 경주, 울진의 경우 이미 지난해 원자력 국가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에는 윤 대통령이 직접 개발 의지를 보인 만큼 사업 계획 구상이 보다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 당시 경주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연계해 SMR 핵심 기술개발 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경주시 동경주 일원 150만㎡(약 46만 평)에 사업비 3,966억원을 투입해 2025년 완공을 목표로 SMR 핵심 거점을 만든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울진의 경우 죽변면 일원 158만㎥(약 48만 평)에 사업비 3,996억원을 투입해 청정수소를 대량 생산·실증하기 위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기업 집적화를 이뤄 동해안 수소경제벨트의 선도 거점지역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도 차원에서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 내 공기업 등과 연계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연간 20만t 청정수소 생산 기반을 갖춰 나갈 것”이라며 개발 의지를 드러낸 바도 있다.

이처럼 사업계획 구상이 어느 정도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집중 지원을 이루면 산단 조성이 더욱 수월할 것으로 윤 대통령은 보고 있다. 정부 지원 아래 민·관 투자를 모아 지역 내 관련 기업을 유인할 경우 특화단지 지정도 신속히 이룰 수 있으리란 판단이다.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은 “지난 18일 국무회의에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를 결정한 만큼, 앞으로 추진 속도를 더 높이겠다”고 전했다.

Moon donghaean 20240621
2021년 문재인 대통령 재임 당시 논의된 동해안 수소경제벨트 지도/출처=국토교통부

동해안 수소벨트 조성 사업, 전임 정권서도 논의

특히 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조성의 경우 문재인 정권 시기부터 언급돼 온 계획안이 어느 정도 승계될 가능성이 있단 의견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21년 문재인 대통령 재임 당시 국토교통부는 전국 5개 초광역권의 미래 발전전략이 담긴 ‘해안·내륙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을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해안내륙발전법)’의 시효가 2030년까지 연장됨에 따라 필요한 추진사업을 지자체 등과 협의한 것이다.

변경안엔 △수소벨트 조성(동해안권) △바이오·스마트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서해안권) △ICT·AI 융복합 산업 지원(내륙첨단산업권) 등 혁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들이 권역별로 다수 반영됐다. 특히 수소벨트 사업과 관련해선 동해안 액화수소 클러스터 조성, 수소산업 생태계 마련 등 핵심 사업이 검토·추진됐다. 전임 정권의 초광역권 미래 발전전략이 현 정권에 일종의 보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