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리밸런싱 자금 확충 총력전’ 산업은행에 지원 요청

160X600_GIAI_AIDSNote
SK그룹, 사업재편 추진 위해 산은에 투자 지원
산업은행, 배터리·반도체 관련 지원 본격 논의
SK, 중복사업 정리·계열사 합병 등 자구책 마련
SK Jongro 001 PE 20240621
서울 중구 SK 서린사옥/사진=SK그룹

사업 재편을 추진 중인 SK그룹이 산업은행에 투자 자금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의 저금리 대출을 활용해 배터리와 반도체 투자를 이어가고 일부 계열사 통합·매각, 중복 사업 정리 등에 들어가는 자금을 대기 위해서다. SK는 산은의 도움을 받아 ‘선택과 집중’에 나서 그룹 체질을 대대적으로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SK, 산업은행 수뇌부 만나 협조 요구

21일 금융권 및 산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SK그룹 경영진은 산은에 그룹 사업 재편 밑그림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SK그룹은 계열사 간 중복 사업 정리, 비주력 사업부문 매각,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 등을 골자로 하는 사업 재편 방안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SK는 반도체와 이차전지(배터리)에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를 위해 오는 28~29일 주요 계열사 경영진이 모두 참석하는 경영전략회의를 거쳐 사업 재편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SK그룹은 해당 작업에 들어가는 자금 수십조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를 국책은행인 산은의 지원을 통해 해결하려는 복안이다.

SK그룹이 ‘사업 재편 방안’을 들고 산은의 문을 두드린 것은 배터리 계열사 SK온뿐 아니라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등 주요 계열사의 설비, 연구개발(R&D) 투자 자금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저금리 시대에 각 계열사가 동시다발로 늘려놓은 투자가 성과로 돌아오지 않으면서 돈줄이 말랐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SK그룹은 주력 사업인 반도체, 배터리, AI와 관련해 투자 타이밍을 놓쳐선 안 된다고 보고 있다. 이들 시장이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는 데다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서다. 실제 배터리 시장에선 중국 CATL, BYD가 유럽을 중심으로 시장 장악력을 높이면서 SK온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반도체 분야에서는 SK하이닉스가 강점을 지닌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도 양산 경쟁에 불이 붙은 상태다.

KDB BANK SK 002 PE 20240621
산업은행 전경/사진=산업은행

산업은행, 지원방안 검토 중

이런 가운데 자금 지원 요청을 받은 산업은행은 고민이 커지고 있다. 산업은행은 정부 지정 초격차 주력 산업인 반도체와 배터리 지원 차원에서 SK그룹을 도울 방안을 찾고 있다. 국책 과제와 연결된 산업은행 융자는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낮다. SK그룹이 주채권은행인 하나은행에 앞서 산업은행을 찾아간 이유다.

다만 산업은행은 SK그룹 대출 한도를 무한정 늘려 줄 순 없는 상황이다. SK그룹의 신용도가 낮아진 점이 문제로 꼽힌다. 산업은행은 지난 2월 SK그룹에 대한 자체 신용등급을 A+에서 A0로 내렸다. SK온의 적자 및 부채 누적을 반영한 결과다. 이에 따라 SK그룹 대출 한도는 산업은행 자기자본의 20%에서 18.7%로 내려갔다. 금액으로 따지면 8조원에서 7조5,000억원으로 줄었다. 이미 6조3,000억원을 빌려준 가운데 추가 대출 여력이 감소한 것이다.

이에 산업은행은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반도체 지원 대책에 포함된 17조원의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SK그룹의 대출 한도는 약 4조원가량 남은 것으로 전해진다. 아직 대출 한도가 찬 상황은 아니지만 향후 지원을 생각하면 미리 늘려놓을 필요가 있다는 전언이다. 더욱이 17조원 대출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정작 동일 차주 신용공여 한도 초과로 필요한 지원이 제때 못 나가선 안 된다는 판단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산은의 대출 한도 규정은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내부 위원회 심의로 쉽게 늘릴 수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법정 대출 한도는 25%지만 얼마나 늘릴지 세부적인 사항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다”면서도 “대출 한도가 반도체 지원과 투자에 걸림돌이 되지 않게 늘리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달 중 좀 더 구체화된 세부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배터리 지원 손 놨던 산은, 원인은 ‘탈원전 정책’

한편 일각에서는 SK를 비롯한 국내 배터리, 반도체 기업의 부진의 원인이 지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후폭풍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초 SK그룹이 배터리 설비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산업은행에 대출을 요청했으나 한국전력 지분 33%를 보유한 최대주주인 산은이 사실상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SK그룹은 80GWh 수준인 배터리 생산 능력을 5년여 후 300GWh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연간 7조원 수준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히면서 SK온의 배터리 설비투자를 위한 자금 대출을 요청했다. 하지만 산은은 자회사인 한전의 경영난이 이어지면서 재무 부담이 커지자 이를 거절했다.

한전의 경영난은 문 정부의 탈원전 탓으로, 한전은 5년 동안 26조원에 가까운 추가 비용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전력구매비 상승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탈원전 정책 영향으로 한전이 지난해 추가로 지급한 전기 구매비용만 12조6,83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 정부 5년(2018~2022년) 동안 한전의 손실액 또한 무려 25조8,088억원에 달한다. 공기업이 아니었다면 진작에 도산했을 수준이다.

결과적으로 한전의 부실은 국가 전략산업발전에까지 악영향을 미쳤다. 배터리 사업의 특성상 초기에는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한데 정책금융기관인 산은마저 국가 첨단산업에 대한 대출을 외면하면서 기업들은 설비를 제때 확충하지 못했고 그 사이 미국, 중국 등 경쟁국에 자리를 내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