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행동 나선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 백종원 더본코리아 상장 계획 ‘빨간불’

160X600_GIAI_AIDSNote
공정위에 집단 신고서 제출한 가맹점주들, "최소 수익률 보장해 달라"
프랜차이즈 업체 갑질 논란에 역량 집중하는 공정위, 더본코리아의 미래는
상장 계획 돌연 '빨간불', "연돈볼카츠 사태로 산재해 있던 리스크 중점화"
thebornkorea mince brand 20240618
연돈볼카츠 브랜드 소개 페이지/사진=더본코리아 홈페이지

방송인 겸 요리연구가 백종원이 대표로 있는 더본코리아 산하 브랜드 ‘연돈볼카츠’의 점주들이 단체 행동에 나섰다. 최소 수익률을 보장해 달란 것이다.

연돈볼카츠 점주들, 더본코리아에 집단 반발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연돈볼카츠 점주들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더본코리아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본사가 허위·과장 매출액과 수익률을 약속하며 가맹점을 모집해 피해를 봤음에도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돈볼카츠는 앞서 SBS 예능 프로그램 ‘골목식당’에 등장해 가성비 맛집으로 이름을 알린 돈가스집 ‘연돈’에서 출발한 브랜드다. 해당 방송을 계기로 연돈과 인연을 맺은 백 대표는 지난 2021년 연돈볼카츠로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했다.

점주들은 더본코리아가 예상 매출액과 수익률을 부풀렸다고 주장한다. 한 점주는 “월 예상 매출액을 3,000만~3,300만원으로 제시한 본사를 믿고 1억원이 넘는 돈을 들여 점포를 열었지만, 실제 매출은 그 절반 이하인 1,500만원 남짓에 불과했다”며 “매출 대비 수익률도 20~25%라고 했지만 7~8% 수준에 그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본사 측에서 원가율이 36~40%라고 고지했으나 실제론 45%가 넘었단 주장도 나왔다. 임대료·운영비·배달 수수료까지 부담하면 점주 입장에선 남는 게 없단 것이다.

공정위에 등록된 연돈볼카츠 가맹사업 정보공개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점포당 연평균 매출액은 2억5,970만원이었지만 지난해 1억5,690만원으로 1년 새 40% 가까이 줄었다. 반면 동기간 더본코리아의 매출은 2,820억원에서 4,100억원으로 45.4%가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159억원에서 209억원으로 31.4%가 늘었다. 연돈볼카츠 점주들은 “매출이 급락한 건 재방문율이 극히 낮기 때문이다. 백종원 이름만 보고 온 손님들이 메뉴·맛·가격에 만족하지 못하면서 다시 찾지 않은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더본코리아는 시정은커녕 자기들 잇속만 챙기고 있다”고 역설했다.

thebornkorea PaikJongwon 20240618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사진=더본코리아 홈페이지

“문제없다”는 더본코리아, 공정위 칼날 피할 수 있을까

이에 더본코리아 측은 연돈볼카츠 점주들의 주장에 즉각 반박 입장문을 냈다. 더본코리아는 18일 입장문에서 “최근 일부 가맹점주들이 당사가 가맹점 모집 과정에서 허위·과장으로 매출액과 수익률을 약속했다는 등의 주장을 개진해 이를 인용한 일부 언론보도가 있었다”면서 “연돈볼카츠 가맹점의 모집 과정에서 허위나 과장된 매출액, 수익률 등을 약속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본사는 2022년 기준 1,700만원 수준의 예상매출산정서를 가맹점에 제공했다”며 “이는 동종 테이크아웃 브랜드의 월평균 매출액과 비교해 낮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한 노력도 언급했다. 2022년 1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연돈볼카츠 주요 메뉴의 원재료 공급가를 평균 15% 인하하고 신메뉴 출시 후엔 해당 메뉴의 주요 원재료 공급가 역시 최대 25% 인하했단 것이다. 더본코리아 관계자는 “연돈볼카츠 가맹점 수의 감소는 대외적인 요건의 악화와 다른 브랜드로의 전환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며 “공정위 신고와 잘못된 언론보도 등에 대해서 객관적 사실에 기초해 성실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더본코리아 측은 회사 경영 방식에 큰 문제가 없단 입장을 반복하고 있지만, 업계에선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단 목소리가 쏟아진다. 공정위 차원에서 식음료(F&B) 프랜차이즈 업체에 칼을 빼들기 시작한 게 지난 3월의 일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3월 공정위는 서울 송파구 bhc본사와 강남구 메가MGC 커피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사모펀드(PEF) 소유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에 대한 직권조사를 본격화한 것이다.

당시 공정위는 이들 프랜차이즈 업체가 거래상 지위를 남용해 가맹 점주에게 불이익을 입혔는지, 가맹사업의 통일적인 운영을 위해 영업시간 통제가 반드시 필요했는지 여부 등을 확인했다. 소위 ‘갑질’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파악한 것이다. 프랜차이즈 업체에 대한 공정위의 칼날은 앞으로 더욱 날카로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bhc가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를 가맹 점주들에 부담시키고 12시간 연속 영업을 강요하는 협약서를 체결하려 하는 등 프랜차이즈 업체의 갑질 사례가 속속 밝혀진 바 있기 때문이다. 더본코리아 역시 공정위의 눈총을 피해 가긴 어려울 거란 게 업계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연돈볼카츠 사태에 상장 계획도 차질 빚어지나

공정위가 더본코리아를 집중 요격할 경우 더본코리아의 상장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단 관측도 나온다. 앞서 지난 5월 더본코리아는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직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한 바 있다. 상장을 앞두곤 중국법인을 대거 청산해 실적을 개선하기도 했다. 지난해 청도더본식품유한공사와 청도호풍가이상무유한공사, 상해본탕찬음관리유한공사 등 중국법인 3곳을 청산해 연결 실적에서 제외한 것이 대표적이다. 상장에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없애 한 번에 성공적으로 증시에 연착륙하겠단 의지를 드러낸 셈이지만, 연돈볼카츠 사태로 신뢰도가 다소 하락하면서 상장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문제는 이번 사태 외에도 더본코리아가 흔들릴 여지가 많단 점이다. 통상 외식 프랜차이즈를 총괄하는 기업은 자본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가맹점에 공급하는 식재료 유통 비용에 이익을 기대할 수밖에 없기에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은 탓이다. 이익을 내려면 납품단가를 높여야 하지만 이 경우 가맹점주에게 반발을 사기 쉽고, 제품 가격을 올리자니 소비자 관리에 어려움이 생긴다. 외식 프랜차이즈 사업을 중점으로 영위하는 더본코리아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단 의미다.

공정위가 주요 프랜차이즈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가맹사업법 개정안 역시 더본코리아의 발목을 잡는다. 해당 개정안에 따르면 내달 3일부터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는 필수 품목 종류와 가격을 변경할 시 가맹점주와 협의를 이뤄야 한다. 기업 입장에선 중장기적인 이익 증대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조항이다. 결국 이전부터 산재해 있던 리스크가 연돈볼카츠 사태를 계기로 중점화되고 있단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