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컨소시엄 위례신사선 우선협상 취소, GS건설 위기설 증폭되나

160X600_GIAI_AIDSNote
GS건설, 위례신사선 도시철도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포기
영업정지, 신용등급 강등과 함께 GS건설 안정성에 대한 우려 확대
건설사 전반에 퍼진 PF위기설 확대될까 우려도

서울시가 추진해온 위례신사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관련 기존 우선협상대상자였던 GS건설 컨소시엄이 포기하면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차선책을 찾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11일 서울특별시의회 본회의에서 유정인 국민의힘 시의원 질의에 “여러 사정이 겹쳤는데, 컨소시엄에 들어와 있는 기업들이 이미 다 포기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조속한 정상화를 목표로 일단 민간투자사업으로 재공고하되 여의치 않은 경우 재정을 투입하는 것으로 순서를 잡고 있다는 게 오 시장의 설명이다. 서울시도 이날 자료를 통해 “위례신사선 신속 재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민자와 재정사업 동시 추진전략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Huh_GSEnC_PE_20240611
GS건설 허윤홍 미래혁신대표 사장 / 사진=GS건설

GS건설, 자재 비용 인상 부담에 서울시와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포기 합의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3호선 신사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으로 시는 2020년 1월 GS건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협상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자잿값 급등과 금리 인상 등 투자사업 추진 여건이 나빠졌고 이런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컨소시엄에 참여했던 주요 건설 출자자 기업들이 사업 참여를 포기했다.

서울시는 GS건설 컨소시엄에 부여했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취소하고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올 하반기 중 새로운 우선협상대상자를 찾기 위한 제3자제안 공고를 다시 내고 우선협상대상자를 지정할 계획이지만, 마땅한 사업자가 없을 경우 재정투자 사업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재정투자 사업 전환을 위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 절차를 동시에 진행한다. 다만, 서울시는 재정투자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민간투자 방식보다 3년가량 착공이 늦어져 우선 민간투자 사업으로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GS건설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본다. 지난해 검단 자이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로 벼랑 끝에 몰린 상황에서 재시공 비용 우려로 12월 들어 신용등급이 강등됐다. 당시 GS건설이 책정한 재시공 비용은 5,524억원으로 책정됐고, 지난해 3,88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어 국토교통부가 8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고, 서울행정법원도 올해 3월 한 달간 추가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연이은 악재에 일각에서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는 평도 나올 정도였다.

부동산PF 긴장 속 워크아웃 대상 지정 우려도

GS건설은 시공능력 5위의 견실한 대형건설사로 알려져 있지만, 지난해 검단 자이 사고에 따른 영업 정지 처분으로 공사 수주가 잠정 중단되면서 위기설이 꾸준히 제기됐다. 특히 신용등급 강등에 따라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은데다 PF 대출 규모도 알려진 것보다 크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된다. 신용평가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GS건설이 보유한 부동산FP 중 위험도가 높은 현장은 1조6천억원대에 달한다. 대다수가 아직 미착공 상태인데다 분양이 안 되는 지방에 사업장에 몰려 있어 단기 유동성 부족에 허덕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특히 도급사업 PF보증액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1조6,221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미착공 비율이 91%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PF의 98%가 서울 외 지역인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신용평가기관들이 차환 여부를 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반면 GS건설 측은 PF 대부분이 조합원 담보가 되어 있는 정비 사업인 만큼 부실화될 가능성이 낮다는 반응이다. 통상 PF에서 문제가 되는 ‘브릿지 론(착공 전 토지 매입 용 대출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이 태영건설보다 매우 적고, 현금 보유고가 3조원 이상인 만큼 시장 충격도 극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금리, 고물가에 관급 공사마저 포기하는 경우 늘어

이번 위례신사선 계약 해지도 고물가, 고금리 등의 시장 악재로 인한 수익성 악화 탓일 뿐, GS건설 외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위기설과는 무관하다는 반응이다. 대형 건설사들의 경우 주택 사업 원가율이 1년 사이 10%p 이상 오른 탓에 최근 90%대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공사 후 수익이 남지 않은 상황이 된 것이다. 정부 지원이 꾸준히 이어졌던 주택과 달리 지하철 노선 등을 포함한 인프라 공사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늦어지고 있는 것도 수익성 악화에 기여했다는 것이 건설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결국에는 시장이 문제”라면서 “업계 전반적으로 (주택) 분양을 미루고, 관급 공사도 수익성을 따져보면서 진행 여부를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과거 시장 상황이 좋을 때 수주했던 사업들 중 상당수가 계속성 여부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일만큼 고금리, 고물가가 압박으로 다가온 것이다.

때문에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PF 보증 여파로 40여 곳의 건설사가 일제히 문을 닫은 줄도산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 영업정지 처분 협상 등으로 관급 공사를 쉽게 포기하기 어려웠을 GS건설이 서울시의 대형 기간 공사를 포기한 것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